트랜잭션

실무

[Spring] @Transactional과 Exception 처리 | 민민의 하드디스크 - 티스토리

1. @Transactional이란?스프링에서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트랜잭션이란 한 번에 수행되어야 할 작업의 단위를 의미하고, 모두 성공하면 커밋, 하나라도 실패하면 롤백된다.트랜잭셔널 어노테이션은 보통 http 요청에서 CRUD 기능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여 사용한다.예를 들어, GET 요청은 조회 시 대부분 사용되기에 @Transactional(readOnly = true)를 사용한다.데이터는 소중하기 때문에, 삭제되거나 잘못된 작업에 의해 롤백되지 않으면 심각한 오류를 초래할 수도 있다. 2. 롤백 조건 – 왜 런타임 익셉션만 롤백할까?스프링의 기본 정책은 Unchecked Exception(즉, RuntimeException과 그 하위) 발생 시 자동 롤백하고..

실무

[DB] 트랜잭션과 데이터베이스 락(Transction & DB Lock) | 민민의 하드디스크 - 티스토리

서론 (개인적인 생각)대부분 웹프로그래밍 업무는 CRUD가 기본 프로세스, 그 외에 전자결재 API, 외부 연계(인터페이스), 내부 연계, 기관 연계 등등 개발의 중점보다는(기본은 되는 정도) 업무(도메인)의 중점(중요도)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예시로,신청과 관리- 내부에서도 승인(결재 프로세스)와 같은 구분이 있어야 visible 되는 기능 또는 화면도 있고,  어떤 흐름에 따라 변경이 잦은 프로세스도 있을 것이다. 신청페이지와 관리자페이지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다..업무를 잘못 이해하면 개발을 아무리 잘해도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지 못한다는 것.그래서 더 많은 테스트를 해보고, JUnit과 같이 코드로 진행하는 테스트로 먼저 검증하고 사용자 테스트를 거치거나 하는 식이다. (공공SI는 대부..

민민2
'트랜잭션'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