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처리

실무

[Spring] @Transactional과 Exception 처리 | 민민의 하드디스크 - 티스토리

1. @Transactional이란?스프링에서 데이터베이스의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트랜잭션이란 한 번에 수행되어야 할 작업의 단위를 의미하고, 모두 성공하면 커밋, 하나라도 실패하면 롤백된다.트랜잭셔널 어노테이션은 보통 http 요청에서 CRUD 기능에 따라 옵션을 설정하여 사용한다.예를 들어, GET 요청은 조회 시 대부분 사용되기에 @Transactional(readOnly = true)를 사용한다.데이터는 소중하기 때문에, 삭제되거나 잘못된 작업에 의해 롤백되지 않으면 심각한 오류를 초래할 수도 있다. 2. 롤백 조건 – 왜 런타임 익셉션만 롤백할까?스프링의 기본 정책은 Unchecked Exception(즉, RuntimeException과 그 하위) 발생 시 자동 롤백하고..

Programming/Java

[Java] 예외 처리(Exception handling)란? | 민민의 하드디스크 - 티스토리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란? 자바(Java)에서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을 다룰 때 사용한다. 예외는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오류나 예상치 못한 상황을 나타내며, 이러한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면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외처리는 try, catch, finally, throw, throws 등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예외처리 키워드 설명 try-catch try 블록 내에는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코드를 기술 catch 블록은 예외가 발생했을 때 해당 예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 예외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개의 catch 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finally..

민민2
'예외처리' 태그의 글 목록